
⚖️ 파기환송 vs 파기자판 완벽정리! 이재명 재판으로 배우는 법률용어📘
법률 뉴스나 시사 뉴스를 보다 보면 종종 접하게 되는 단어가 있습니다. 바로 ‘파기환송’과 ‘파기자판’인데요, 최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재판이 화제가 되면서 이 두 용어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이 두 법률 용어를 이재명 대표의 재판 사례와 함께 쉽고 자세하게 설명해 드릴게요😊
🌀 파기환송이란?
‘파기환송(破棄還送)’이란 상급심 법원이 하급심의 판결을 법률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판단하여, 그 판결을 파기(무효화)하고 사건을 다시 하급심 법원으로 되돌려 보내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대법원이 항소심(2심) 판결이 법률 해석이나 적용에서 문제가 있다고 보고 그 판결을 깨뜨린 후, 다시 2심 법원으로 돌려보내 “다시 제대로 재판해 봐라”라고 하는 상황입니다.
✔ 예를 들어, 피고인이 무죄를 주장하며 항소했고, 2심에서 유죄 판결이 났지만 대법원이 그 판결을 검토한 결과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면, 해당 판결을 파기하고 다시 2심으로 보내 사건을 재심리하게 합니다.


🧑⚖️ 파기자판이란?
반면 ‘파기자판(破棄自判)’은 파기환송과 비슷하게 상급심이 하급심 판결을 파기하긴 하지만, 사건을 다시 하급심으로 보내지 않고 상급심에서 직접 최종 판결을 내리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방식은 사건의 사실관계가 명확하고, 더 이상 새로운 증거나 심리가 필요 없다고 판단될 때 적용됩니다. 대법원도 파기자판을 할 수 있는데요, 이는 일종의 '직접 판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 쉽게 말하면, "하급심 판결이 틀렸고, 이건 내가 직접 고쳐서 판결하겠다!"라는 것이죠.


🔍 파기환송 vs 파기자판 차이점 비교
항목 | 파기환송 | 파기자판 |
정의 | 상급심에서 하급심 판결을 깨고 다시 하급심으로 돌려보냄 | 상급심에서 하급심 판결을 깨고 직접 판결함 |
상황 | 추가적인 사실 확인이나 심리가 필요할 때 | 사실이 명백하고 더 이상 심리가 필요 없을 때 |
예시 | 대법원이 2심 판결 파기 후 2심으로 환송 | 대법원이 2심 판결 파기 후 직접 유·무죄 판단 |
📰 이재명 대표 재판과 파기환송
최근 뉴스에서 많이 보도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재판에서도 ‘파기환송’이 등장했습니다.
이재명 대표는 경기지사 시절 TV 토론에서 '형님 정신병원 강제 입원' 관련 발언이 허위 사실 공표에 해당하는지 여부로 기소되어 1심에서는 무죄, 2심에서는 유죄가 나왔습니다.
그러나 대법원은 2심 판결을 파기하고 사건을 다시 환송, 즉 파기환송했습니다. 대법원은 ‘표현의 자유’라는 관점에서 이 대표의 발언을 봐야 한다고 판단했고, 2심의 법 적용이 부적절하다고 본 것이죠.


📌 이재명 상고심, 왜 중요한가?
이번 이재명 대표의 상고심은 단순한 개인의 법적 문제를 넘어서 정치, 법률,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사건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그 핵심 내용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대법원 전원합의체 회부
대법원은 이 사건을 전원합의체에 회부하며, 그 중요성을 드러냈습니다. 이는 대법관 전원이 심리에 참여해 다수결로 판결하는 절차로, 법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쟁점을 포함한 사건에만 적용됩니다.
⚡ 신속한 심리 진행
보통 대법원에서 사건이 접수되면 몇 달간 정체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사건은 이례적으로 빠르게 심리 일정이 잡히며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사건의 정치적, 사회적 파급력을 고려한 결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 정치적 영향
이재명 대표는 현재 유력한 대권 주자로 평가받고 있으며, 이 재판의 결과는 그의 정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대법원 판결이 대선 전 나올 경우, 정치권 전체에 큰 파장을 몰고 올 수 있습니다.
⚖️ 법리적 쟁점
이 사건은 공직선거법상 허위사실 공표죄의 성립 요건과 관련된 민감한 법리 해석이 요구됩니다. 대법원의 최종 판결은 향후 유사 사건들에 중요한 판례적 기준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리하자면…
✔ 파기환송은 하급심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절차
✔ 파기자판은 상급심이 직접 판결하는 절차